■ 2022.12.20 CJ, CJ올리브영의 실적 부각 전망 (삼성증권)
2022년 CJ올리브영 영업이익 전년 대비 큰 폭 증가 전망: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22년 CJ올 리브영의 EBITDA는 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지난 2년간 감가상각비였던 2,000억원이 점포 수 증가 등으로 인해 20% 가량 증가했다고 가정하면,
2022년 올리브영의 영업이익이 약 2,600억원 (2,600억원=5,000억원2,000억원x1.2)이라는 것인데,
영업이익 2,600억원은 전년 대비 89% 증가한 수치가 될 전망이고, CJ올리브영의 영업이익은 CJ 연결기준 영업이 익 2.2조원의 약 12%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CJ올리브영의 이익은 70%를 상회하는 높은 시장점유율로 인해 지속적인 개선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로 인해 2023년 CJ의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2.3조원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CJ올리브영의 이익 증가로 인해 CJ의 배당 여력도 개선: CJ올리브영의 실적 개선은 CJ의 배당수익 개선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CJ가 CJ올리브영으로부터 수취한 배당수익은 지난 2년간 154억원으로 전체 배당수익의 약 21%이다.
CJ올리브영의 순이익도 89% 증가하고, 배당성향이 유지된다고 가정할 경우, CJ 배당수익의 약 20% 증가요인이 될 수 있다.
CJ의 예상 배 당수익률 3.1%는 CJ그룹 내에서 가장 높은 배당수익률이고, CJ의 주당순이익(DPS)은 그룹 내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빠르게 성장한다.
BUY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110,000원 유지: CJ에 대해서 BUY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110,000 원 유지하는데,
1) 한한령 해제 등으로 인한 주요 자회사의 실적 개선 모멘텀,
2) CJ올리브영 의 상장 가능성,
3) 안정적인 배당수익률 때문이다.
CJ올리브영의 2022년 EBITDA에 성장성 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쟁사 평균 EV/EBITDA 멀티플인 6배만 적용해도 CJ올리브영의 지분가치는 CJ 시가총액의 60%를 상회한다.
CJ 목표주가 산정에 적용한 NAV 반영률은 2018년 6월 이후 지속되고 있는 0.75를 적용하였으나, CJ올리브영 상장 모멘텀이 부각되면 상향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한다.
'주식공부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리테일, 한국의 더딘 경기 회복과 외식물가 상승은 편의점 산업 성장에 긍정적 요인 (0) | 2022.12.28 |
---|---|
현대모비스, 현재 P/E 6배 중반, P/B 0.5배로 동종업종 내 가장 낮은 Valuation에서 거래 (0) | 2022.12.28 |
코웨이, 밸류에이션 정상화 전망 (0) | 2022.12.18 |
SK, 2,0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2023 년 3 월 2 일까지 취득할 예정 및 2023년 소각 전망 (0) | 2022.12.18 |
롯데리츠, 2023년 배당가능이익은 2022년 대비 25% 감소할 것으로 추정 (0) | 202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