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2015.06.24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우선주 시장의 상대적 강세현상이 뚜렷하다. 제도가 시행된 15일 이후 현재까지 KOSPI 종목별 누적 주가 상승률을 살펴보면, 상위 10개 종목 모두 우선주였고 Top 30 종목 가운데 25개가 우선주 차지였다. 현재까지 스코어로 본다면 이번 제도변화의 최대 수혜주는 단연코 우선주였다.
이는 거래제도 변화가 우선주 가격변동성 확대로 연결된데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는데, 통상 가격제한폭 확대 영향이 익히 알려진 시장(대형주, 보통주, 거래량 多)보단 소외된 시장(중소형주, 우선주, 거래량 少)에서 보다 크게 나타나고, 투자자 행동심리 측면에선 주가 하락보단 상승 쪽에 더 큰 상관성을 보였다는 점 등이 맞물려 나타난 시장 반응으로 풀이된다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의 증시 영향 분석', 5/20일, 김용구).
그간 1) 저금리 고착화에 따른 채권자산 대체수요 증가, 2) 기업 배당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정책변화, 3) 시장 내 보통주 의결권 가치 약화 등을 이유로 우선주 시장의 중장기 개선 가능성을 주장한 바 있는데, 이번 가격제한폭 확대조치 또한 보통주 대비 우선주 가격괴리 축소를 지지하는 중요한 제도적 변화로 판단한다.
전략적인 견지에서는 1) 가격괴리 축소 사이클을 활용한 동일기업 보통주/우선주 교체전략, 2) 6월 중간배당시즌 도래에 따른 고배당 우선주 배당투자 전략 등을 주목한다. 아울러, 최근 우선주 강세현상이 기업 펀더멘탈과는 무관하게 상당부분 취약한 수급기반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경우 유동성과 펀더멘탈 개선 가능성에 근거한 옥석 가리기에 주력할 필요가 있겠다.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06.16 제일모직_합병, 예정대로 진행될 가능성 높아 (0) | 2015.06.25 |
---|---|
2015.06.24 매일유업_SWOT 분석 (0) | 2015.06.24 |
2015.06.23 유진기업_레미콘 업황 호조, 신사업은 진출시 기업가치 레벨업 요소 (0) | 2015.06.23 |
2015.06.22 글로벌 펀드 자금 동향(미,일 주식펀드로 대규모 자금 유입) (0) | 2015.06.22 |
2015.06.22 SK이노베이션_10개 분기만에 사상 최고 이익 기대 (0) | 201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