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국내주식

2023년 GS리테일의 실적 개선 폭은 유통업종 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


■ 2023.01.26 GS리테일 (이베스트투자증권)


GS리테일의 KIFRS 연결 기준 2022년 4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6.9% 증가한 2조 8,372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12.5% 증가한 542억원을 예상해, 기존 당사 추정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 4분기 편의점 부문은 10~11월 우호적이었던 날씨로 4% 수준의 기존점 신장을 이어갔을 것으로 추정하고,

12월은 추위로 인해 낮은 한자릿수 수준의 기존점 신장이 예상된다. 이에 4분기 전체로는 약 3.5% 수준을 추정하는데, 통합 앱 출시로 관련 개발 용역비 등의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슈퍼마켓은 내식 수요 증가에 따라 양호한 흐름을 예상한다. 2022년 10~11월 기존점 신장률은 각각 4%, 6%로 추정하며, 식품 매출 호조와 함께 퀵커머스를 통한 성장도 일부 시현하고 있다.

호텔 부문은 코로나19 영향에서 벗어나 투숙률이 상승해 긍정적이다. 더불어 기타 부문의 적자폭 개선이 고무적이다.

동사는 2022년 상반기 이후 이커머스 및 신사업 부문에서 수익성 위주의 전략으로 선회했는데, 이후 3분기 적자폭을 축소시키며 체력을 증명했다.

4Q22 프레시몰 부문의 영업손실은 QoQ로 70억원 가량 줄어든 190~200억원 수준을 예상한다.

2023년 GS리테일의 실적 개선 폭은 유통업종 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한다.

1)편의점의 외식 수요 흡수와 더불어 개발용역비 등 비용 절감이 예상되고,

2)슈퍼마켓 또한 가맹점 위주의 안정적인 수익 구조와 함께 내식 수요 증가 수혜가 긍정적이다.

3)이커머스를 비롯해 그동안 부진했던 신사업 부문은 수익성 집중으로 바닥을 지나고 있다. 이에 2023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9.5% 증가한 3,452억원을 전망한다.

GS리테일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기존 32,000원에서 40,000원으로 상향한다. 목표주가는 2023년 예상 실적 기준 EPS에 Target P/E multiple 15배를 적용함에 따른 것이다.

올해 편의점과 슈퍼마켓의 부문의 수익성 개선 전략과 신사업의 비용 절감 노력이 돋보일 것으로 전망하며, 올해 예상 실적 기준 현 주가는 10.6배로 업종 내 매력 있는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