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국내주식

GS, 올해 배당수익률 역시 견조한 흐름을 지속할 전망


■ 2024.04.16 GS (SK증권)

GS 의 1Q24 매출액은 6.5 조원(5.4% YoY, -1.4% QoQ), 영업이익 9,844 억원 (-7.4% YoY, +13.8% QoQ)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가, 정제마진 강세에 따른 GS Caltex 의 실적 개선과 성수기 효과 등에 따른 발전사 실적 개선 영향이다.

1) GS Caltex: 영업이익 4,727 억원(+147.6% QoQ)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Q24 유가 상승 및 정제마진 개선 효과에 따른 큰 폭의 증익이 예상된다. GS 의 정제 마진은 +$2.8/bbl QoQ 를 기록했을 것으로 판단되며, 4Q23 발생했던 재고관련손실 소멸 등에 따라 이익 개선세가 예상된다.

2) GS Energy: 영업이익 7,496 억원(+10.9% YoY, +19.1% QoQ)을 기록했을 것 으로 추정된다. GS Caltex 실적 개선 반영 및 발전소 가동률 상승, 유가 상승에 따라 전 부문의 실적개선이 예상된다.

3) GS EPS / E&R: GS EPS 영업이익 760 억원(+10.3% QoQ), GS E&R 영업이 익 394 억원(+15.5% QoQ)을 각각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Q24 발전소 가동률 상승에 따른 증익이 예상된다.

24년 에너지 업황 강세에 따라 GS 의 실적은 연간 영업이익 4.0 조원이 예상되며, 23 년대비 증익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4 년도 별도 당기순이익 역시 4,483 억원 으로 23년대비 감소하겠으나, 22년대비해서 볼 때 견조한 실적을 지속할 전망이다.

23 년 GS 는 22 년 에너지 업황 호황에 따른 최대 별도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며, 24 년 업황 역시 우호적인 점을 고려하면 올해 배당수익률 역시 견조한 흐름을 지속할 전망 이다.

GS의 현재 재무구조를 고려할 때 향후 주주환원정책 확대를 위한 기초체력 역시 확보된 상황이라는 판단이며, 주주환원정책 확대에 따른 NAV 할인율 축소, 업사이드 역시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우호적인 업황을 반영, 실적추정치를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55,000 원으로 상향하며 투자의견 ‘매수’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