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7.02 KT&G (HI투자증권)
KT&G 2Q24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 4,207억원 (+6.3% YoY), 2,774억원 (+14.2% YoY)으로 추정한다.
해외 궐련 및 NGP의 견조한 물량확대 흐름 및 일부 이익 (+)조정효과, 부동산사업 개선 등으로 국내 건기식 소비감소세 지속에도 불구하고 분기 영업실적에 대한 시장 기대치가 상향조정될 것으로 예상 한다.
국내 일반담배 및 NGP 물량 성장 흐름과 지배력이 견고하다. 시장 총수요는 영업 일수 조정 등이 더해져 (+)전환이 예상되며, 시장 내 점유율은 개선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NGP 스틱은 경쟁심화에도 불구하고 시장 성장과 동일한 궤의 물량확대 기조가 주효하다. 원가상승 이슈관련 마진 조정흐름은 지속되나, 민감도는 축소될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
수출 및 법인 일반담배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수량관련 낮은 베이스효과와 가격 및 환율개선폭이 반영된 영업실적 성장세가 예상된다.
글로벌 NGP는 기진출국 내 저변확대 목적의 스틱 판매량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디바이스 매출액의 일시적 조정에도 불구하고 2Q24 또한 스틱 수량중심 성장이 기대된다.
부동산 사업은 일부 프로젝트 반영에 따라 전분기대비 실적기여 개선이 예상되나, 24년 보유부지 조기개발 진행 스케쥴 등을 감안한 전사 영업실적 기여관련 가이 던스 달성률은 2H24에 집중될 것으로 판단한다.
KGC는 해외성장이 견조하나, 국내 소비감소 영향이 이어질 전망이다. 대외변수를 고려시 급격한 내수 수요 확대 가정은 다소 부담스러우나, 면세 회복 및 향후 글 로벌 수요 견인 가능성을 고려, 중장기 측면에서 건기식 사업부문 개선에 대한 시 각을 유지한다.
1H24 원가상승 부담 지속과 가이던스를 고려한 부동산 단기 실적 공백, 일반담배 모멘텀 희석에서 비롯한 주가 정체흐름이 이어졌으나, 2Q24 영업실적이 예상 대비 견조하고 2H24 개선 여지를 고려, 관련 우려는 마무리된 것으로 판단한다.
하반기 실적개선 가시화가 더해질 경우 주가 방향성의 우상향 움직임을 기대할 수 있다. 주력 사업부문에 대한 시장변화에도 사업구조적으로 대응이 빠른 상황에 서 주주환원성 정책까지 고려된 매수전략은 유효하다는 판단이다
'주식공부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 발전사업의 겨울 성수기 효과와 배당수익률 6%, 2024F PBR 0.3배에 불과한 저평가 매력 (0) | 2024.11.17 |
---|---|
SK, 주주환원 정책 26 년까지 최소 DPS 5,000 원과 매년 시가총액의 1~2%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 제시 (0) | 2024.11.17 |
현대차, 인도 IPO 등이 현실화된 이후에는 추가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 (0) | 2024.06.22 |
현대차, 완성차 시장은 바야흐로 대 주주환원의 시대 (0) | 2024.06.15 |
GS, 주주환원과 성장동력 확보 (0) | 202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