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1897)
삼성물산, 다음 3개년 배당정책 발표 예정 ■ 2023.01.05 삼성물산 (IBK투자증권) 지난해 수익이 일시적으로 집중되는 것도 삼성물산이 가진 장점 중 하나라고 본다. 대표적인 것이 건설 중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라인의 일부가 완공되면서 발생한 효과다. 건설은 이를 제외하더라도 해외 수주를 바탕으로 매우 안정적인 수익을 나타내고 있었고, 하반기에는 연간 수주 목표를 상향 조정하기에 이르렀다. 상사도 사업운영 및 개발로 원자재 가격과 교역에 의존도를 낮추는 수익구조를 만들어가고 있으며, 수익성 중심의 사업구조와 거리두기 해제 효과로 패션과 레져 그리고 식음 사업의 수익이 좋아졌다. 글로벌 경제 환경에 영향을 피해갈 수는 없겠지만, 이전보다 개선된 사업구조로 더 나은 실적을 기대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고 본다 금년에 다음 3개년 배당..
2023년 상반기, 삼성전자 메모리 부문 14년 만에 적자 예상 ■ 2023.01.05 삼성전자 (KB증권) KB증권은 삼성전자가 2023년 메모리 설비투자를 기존 계획대비 15% 축소할 것으로 추정한다. 이는 3Q22부터 메모리 가격하락 속도가 예상을 상회하며 2023년 상반기에 삼성전자 메모리 부문이 2009년 1분기 이후 14년 만에 적자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성전자는 2023년 예정된 DRAM, NAND 신규증설과 공정전환 계획을 일부 지연시킬 것으로 추정되어 2023년 3분기부터 DRAM, NAND 수급은 공급축소와 재고감소 효과로 개선이 시작될 전망이다 과거 메모리 다운사이클에서 삼성전자 주가는 재고 정점을 기록한 시점 (4Q08, 3Q15, 1Q19)의 직전 분기부터 주가 반등이 나타났고, 메모리 재고 정점 후 9개월간 +25~80% 주가 상승을..
[2023 증시 전망]국내 증시 주목할 업종 [2023 증시 전망]국내 증시 주목할 업종 https://naver.me/5Rtqpg6Q "이미 모든 악재 나왔다"…전문가가 뽑은 새해 뜰 업종은? 국내 증시 주목할 업종] 1일 머니투데이의 신년 증시 전망 릴레이에 인터뷰에 참여한 자본시장 전문가들은 2023년 국내 증시에서 주목해야 할 업종으로 '반도체'를 꼽았다. 경기 침체, 수요 둔화 n.news.naver.com
롯데리츠, 2023년 배당가능이익 2022년 대비 25% 감소 추정 ■ 2022.11.30 롯데리츠 (NH투자증권) 롯데리츠에 대한 투자의견 Buy는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5,200원(기존 7,300원)으로 하향. 목표주가를 하향한 이유는 자본 조달 비용 상승으로 인해 중장기 배당가능이익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기 때문. 참고로 2023년 배당가능이익은 2022년 대비 25% 감소할 것으로 추정. 한편,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는 이유는 금리 환경 개선 시, 충분한 차입 여력과 우량한 신용등급 바탕으로 자산 편입을 통한 회복이 빠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롯데리츠는 자산 규모 2.3조원, 안정적인 LTV(42%, 감정평가액 기준), 신용도 높은 책임 임차인(롯데쇼핑, 롯데글로벌로지스)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 리츠 중 양적, 질적 측면에서 가장 안정적. 또 롯데그룹의 우량 자산에..
삼성전자, 고객사 재고 조정 지속으로 스마트폰향 모바일 DRAM/MCP 중심 ASP 하락 지속 ■ 2022.12.29 삼성전자 (한국투자증권) 4분기 실적은 매출액 74.16조원, 영업이익 6.95조원으로 추정한다. 기존 추정치인 매출액 76.4조원, 영업이익 8.35조원에서 추가 하향 조정했다. 메모리 다운턴은 현재진행형으로 수요 회복의 기미가 아직 보이지 않는다. 고객사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스마트폰향 모바일 DRAM/MCP를 중심으로 ASP 하락이 계속되고 있다. 3분기 10% 초반 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NAND는 4분기 적자 전환이 예 상된다. 스마트폰은 QoQ 세트 출하량 감소와 함께 판매 프로모션에 따른 ASP 하 락이 동반되며 3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이다. 3분기 깜짝 실적을 기록한 디스플레이는 폭스콘 정저우 공장 셧다운 영향을 일부 반영하며 역시 3분기 대비 영업..
현 정부가 대내외적으로 추진하는 원전 정책, 한전KPS에 긍정적인 모습 ■ 한전KPS, 한전KPS는 2022년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B등급을 받아 관련 성과급 등 충당금으로 2021년에 이어 인건비가 상승함. 따라서 2022년 영업이익은 1,188억원(4% y-y)으로 부진할 것으로 추정. 2023년 역시 공기업 경영평가 결과는 중요하지만, 이미 B등급을 평균으로 충당금이 설정돼 A등급이 나오지 않는 이상 비용 부담은 크지 않을 전망. 만약 C등급 이하로 나온다면 기 설정한 충당금의 환입으로 비용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 참고로 당사는 2023년 경영평가 등급은 2022년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 2023년 영업이익은 1,488억원(+25% yy)으로, 6월말 경영평가 결과에 따라 추정치는 추가로 상향 조정될 수 있는 상황. 현 정부가 대내외적으로 추진하는 원전 정책 역시 한전KP..
삼성바이오로직스, 전 공장 풀가동에 따른 생산성 향상, 우호적 환율효과로 견고한 외형성장 기대 ■ 2022.12.27 삼성바이오로직스 (대신증권) 별도 매출액 2조 7,122억원(+15.7% yoy), 영업 이익 9,518억원(+5.0% yoy, OPM 35.1%) 전망 4공장 가동 개시로 인한 감가상각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 공장 풀가동에 따른 생산성 향상, 우호적 환율효과로 견고한 외형성장 기대 4공장 수주활동 지속 확대 중. 5개 글로벌 제약사와 7개 품목에 대한 수주 계약 완료했으며 16개 기업과 25개 품목에 대한 논의 진행 중. 4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2023년 4분기부터 실적에 반영 예상 제2바이오캠퍼스 부지 내 5공장 증설 계획 가시화 기대. 단일항체는 연평균 8% 성장률을 나타내며 생산 수요 지속 확대 중. 5공장 규모 및 투자시기 확정 시 영업가치 상향 가능할 것 바이오에피스..
삼성전자 4Q22 실적, 메모리와 스마트폰 부문 실적 악화가 전사 실적 부진의 주요인 ■ 2022.12.27 삼성전자 (BNK투자증권) 4Q22 연결 실적은 매출액 71조원(8%QoQ, -7%YoY), 영업이익 6.59조원 (-39%QoQ, -52%YoY)가 예상된다. 메모리와 스마트폰 부문 실적 악화가 전사 실적 부진의 주요인이다. 사업 부문별 영업이익은 반도체 2.19조원, 디스플레이 1.92조원, DX 2.24조원(MX 1.87조원, VD 0.5조원), Harman 0.25조원으로 추정된다. 스마트폰의 경우 수요 부진과 중저가 위주로 제품 믹스가 악화되면서 ASP가 14%QoQ 하락하고 판매량이 5%QoQ 감소할 전망이다. 메모리는 고객사 재고조정이 지속되며 DRAM, NAND의 ASP가 각각 21%, 22% QoQ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메모리 부문의 추가 실적 감소와 파운드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