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1897)
현대차, 전년수준 이상의 배당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기대 ■ 2022.10.25 현대차 (IBK투자증권) 3분기 실적은 매출액 37.7조원(+31% yoy), 영업이익 1.55조원(3% yoy), 영업이익률 4.1%(-1.5%p yoy)를 기록. 품질비용(1.36조원) 반영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으나 품질비용 제외한 수정영업이익은 2.91조원으로 수정영업이익률 7.7%를 기록. 일회성 비용이 없었다면 2분기에 이어 3조원에 육박하는 호실적이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됨. 다만 품질비용 반영 발표전 컨센서스 3.13조원에는 못미쳤는데 기말환율 상승에 따른 비용 상승 영향, 제네시스 비중 하락, 금융부문 이익률 하락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 매출액은 37.7조원으로 전년동기비 +8.8조원(+31% yoy) 증가했는데 환율상승 +2.7조원, 물량증가 +2.3조원, 믹스개선..
삼성전자, 메모리 다운사이클에서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수익성과 높은 이익방어력 (NAND, OLED) ■ 2022.10.21 삼성전자 (KB증권) 삼성전자 4분기 실적은 디스플레이 (DP)를 제외한 전 사업부 감익으로 매출액 76.6조원 (+0.8% QoQ, flat YoY), 영업이익 7.9조원 (26.6% QoQ -42.8% YoY, 영업이익률 10.4%)으로 추정된다. 4분기 메모리 출하 증가 (Bit Growth: DRAM +21%, NAND +20% QoQ)에도 판가 하락 (ASP: DRAM -18%, NAND -19% QoQ)이 지속되며 반도체 영업이익 (-42.0% QoQ, -67.9% YoY)은 부진할 전망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DP)는 아이폰14 프로 (Pro, Pro Max) 시리즈의 OLED 패널 공급 점유율 상승 (4Q21: 70% → 4Q22E: 85%)으로 4분기 최대 실적이 ..
SK의 100% 자회사 SK팜테코 ■ 2022.10.05 SK (교보증권) SK의 100% 자회사인 SK팜테코는 한국 SK바이오텍, 미국 AMPAC, 유럽 SK바이오텍 아 일랜드 등 3개의 기업을 통해 Small Molecule CMO 사업을 영위하며 프랑스의 Yposkesi 지분 70%와 미국 CBM의 지분 일부 등을 보유하며 CGT CMO 분야에도 진출한 상황이다. 아슬람 말릭 SK팜테코 사장에 따르면 SK팜테코는 2021년 매출 7.4억$를 기록했다고 밝혔으며 그리고 2025년까지 매출 20억$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공개했다. EBITDA Margin은 현재 최대 20%에서 향후 25%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SK팜테코는 현재 Cash Cow인 Small Molecule CDMO 사업과 향후 미래 성장 동력이 될 CG..
삼성물산, 올해 상반기 건설부문 신규수주 국내 5.1 조원, 해외 3.5 조원 등 8.6 조원을 달성 ■ 2022.09.28 삼성물산 (HI투자증권) 중동 산유국의 경우 균형재정 유가 대비 시장 유가가 높을 경우 발주를 확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 동안의 유가수준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중동시장 발주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지난해 11 월에 동사는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MISA)와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현지 개발 사업 및 인프라 확장 공사 등에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사우디 국가혁신전략인 에 맞춰 도시개발, 그린에너지, 인프라 확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향후 협업을 기대할 수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 2 의 중동 붐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되는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북서부 홍해 인근 2 만 6500 ㎢ 부지에 탄소제로의 친환경 스마..
현대차, 실적을 가늠하는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환율 ■ 2022.09.27 현대차 (신한금융투자) 실적을 가늠하는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환율이다. 3분기 환율은 평균 1,334원/달러, 기말 1,431원/달러로 가정했다. 평균 환율이 대폭 상승 (+177원/달러 YoY)해 수출 손익이 개선된 점은 영업이익 약 8,000억 원의 증분(YoY)으로 전망한다. 추가로 봐야할 최근 기말 환율 급등세는 단기 실적에 부정적 변수다. 10조원에 달하는 충당부채 중 외화평가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기말 환율 상승폭(+138원/달러 QoQ)은 약 6,000억원의 판매보증충당금 상승 요인(QoQ)으로 예상한다. 결론적으로 환율 효과는 서로 상쇄돼 예상보다 밋밋하다 환율보다 중요한 것은 구조적 호황의 지속 여부다. 공급 우위의 영업 환경과 동사의 개선된 상품성을 통해 고가..
SK, 에너지 밸류체인 성장성 부각 전망 ■ 2022.09.26 SK (HI투자증권) SK E&S 수소에너지 사업의 경우 SK 인천석유화학 공장 내 부생수소 액화설비 건설하여, 2023 년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액화수소 3 만톤을 공급할 예정이며, 2025 년에는 CCUS 기술이 적용된 보령 블루수소 액화 플랜트(연 25 만 톤)가 준공될 예정이다. 또한 SK E&S 는 플러그파워와의 합작법인을 통해 아시아 수소시장 진출 등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SK E&S 에너지솔루션 사업의 경우 그리드솔루션, ESS(에너지저장시스템), VPP(가상발전소), 전기차 충전 등을 영위하고 있다. 국내 배전망 소유 및 전기 도·소매 사업을 하는 부산정관에너지를 활용하여 국내 마이크로 그리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1 년 7 월부터 전기차에 저장된 전력을..
LG, 자기주식 취득과 배당을 포함한 주주환원의 지속적인 증가 기대 ■ 2022.09.20 LG (SK증권) LG는 2022년 5월 30일부터 2024년 12월 31 일까지 5,0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취득할 예정이다. 현재 전체 예정금액의 27% 가량 취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예상 보다 빠른 속도이다. 예정 취득수량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취득시점 대비 현재 주가가 상승해 취득 후 자기주식 비율은 4% 초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5월 발표한 신규 배당정책에 따르면 ‘배당금 수익 한도’라는 단서를 삭제해 상표권 수익과 임대수익에 대한 배당가능성도 열어놨다. 자기주식 취득과 배당을 포함한 주주환원의 지속적인 증 가가 기대된다. 최근 IPO 시장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LG CNS의 기업가치 가 증가할 전망이다. LG CNS의 2022년..
삼성전자, 재고자산 증가와 실적부진 전망 ■ 2022.09.20 삼성전자 (BNK투자증권) 3Q22 매출액과 영업이익 추정치를 79.3조원, 11.7조원으로 각각 1%, 17% 하향 수정한다. 극심한 수요 부진으로 반도체 영업이익이 6.5조원( 35%QoQ)에 그칠 전망이다. DRAM과 NAND bit growth는 각각 - 8%QoQ, -5%QoQ, ASP는 -16%QoQ, -14%QoQ로 예상되며, System LSI 도 전방 수요 부진으로 메모리 보다는 양호하지만 당초 기대보다는 부진하다. DX는 전분기 대비 매출은 개선될 것이나, 달러 초강세로 인한 현지법인 수익성 악화로 영업이익이 3.1조원(MX 2.9조원)에 그칠 전망이다. 한편 디스 플레이는 성수기 도래와 아이폰14 공급망 점유율 상승, A3 fab 감가상각 부 분 종료로 영업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