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1897)
현대차, 올해 예상되는 보통주 주당 배당금은 11,000원 ■ 2023.10.10 현대차 (신영증권) 3Q23 글로벌 도매 판매는 105만대로 YoY+2% 증가, QoQ1% 감소. 반면 연결 대상 판매는 YoY+5% 증가, QoQ-1% 감소. 전년 동기 대비 판매 증가에 따른 볼륨 효과와 더불어 판매 가격과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내수, 북미 판매 비중 증가(연결대상 지역 중 45%, YoY+2%p)에 따른 지역, 차종 믹스 개선이 전사 매출 증가와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 반면 원/달러 평균 환율 하락(YoY-2%)과 미국 인센티브 상승(YoY+435%, QoQ+50%)은 수익성 개선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것. 이와 더불어 미국 시장 160만대를 필두로 주요 시장에서 전자제어 유압장치 합선 결함에 따른 화재 발생 가능성과 이에 따른 리콜 비용(4천억..
롯데리츠, 금융비용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 2023.10.06 롯데리츠 (NH증권) 투자의견 Hold는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3,500원(기존 4,000원)으로 13% 하향. 투자의견 Hold를 유지하는 이유는 금융비용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인 바 주가와 실적 모두 어려운 구간이기 때문. 목표주가 하향은 미국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 및 자금 조달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해 할인율을 20% 적용한데 기인. 현 주가 기준 12MF 배당수익률은 6.4% 1H23 6,580억원(평균 조달금리 3.3%)의 리파이낸싱을 진행. 재조달금리는 국 고채 3년물 금리에 100~150bp가량 스프레드가 가산된 수준(4.5%~5.3%)에 서 결정됨. 리파이낸싱 후 조달금리는 1.5%p 상승했고 이는 연간 100억원의 금융비용 상승을 의미. ’24년 임..
GS, GS칼텍스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든지, 아니면 GS가 크게 저평가 ■ 2023.10.06 GS (삼성증권)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하는 GS 그룹의 지주회사: GS는 GS에너지, GS EPS, GS E&R, GS리테일 등을 연결대상으로 인식하는 GS 그룹 지주회사이다. 당기순이익은 지난 6년 평균(2020년 제외)을 기준으로 1) GS칼텍스의 정유, 2) GS EPS, GS E&R 등의 전력 및 가스, 3) GS리테일 등 의 유통이 3:2:1의 비중으로 구성된다. 여건이 비우호적일 때도 8,000억원을 넘는 양호한 지배주주 순이익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가총액은 3.8조원으로 저평가 상태이다. GS의 견조 한 이익 규모와 배당 지급 추이는 유럽계 석유회사보다는 미국, 일본 기업과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지난 3년간 미일 기업에서는 없었던 약 50%에 해당하는 P/B 디레이팅이 ..
HD현대, 비상장 자회사 지분가치가 재평가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 중 ■ 2023.09.18 HD현대 (삼성증권) HD현대로보틱스와, HD현대글로벌서비스 지분가치 재평가 예상: HD현대의 비상장 자회사 지분가치가 재평가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 중. 먼저, HD현대로보틱스는 두산로보틱스의 상장으로 국내 시장에서 밸류에이션 비교 대상이 등장. 두산로보틱스의 공모 희망가에 반영된 밸류에이션이 공격적인 수준이라는 점도 긍정적. HD현대글로벌서비스도 최근 주관사를 선정하고 상장을 추진. 회사의 실적 개선세와,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친환경 개조 수요 증가 까지 감안하면, 투자자의 관심 역시 확대될 것. 마지막으로, 현대오일뱅크 역시 최근 정제마진 강세 지속에 따른 수혜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HD현대 기업가치의 절반 이상(64%)을 차지하는 비상장 3사에 대한 재평가는 HD현대..
SK, 주력 자회사 SK E&S는 LNG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사업영역을 구축 ■ 2023.09.18 SK (HI투자증권) 동사의 주력 자회사인 SK E&S 의 경우 호주, 미국, 인도네시아, 중국 등의 지역에 걸쳐 Upstream, Midstream, Downstream 등 가스전 개발부터 발전소 운영까지 LNG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사업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먼저 Upstream 측면에서는 인도네시아 Tangguh, 호주 Gorgon 계약 등을 통해 10 년 이상 안정적으로 LNG 을 직도입하고 있는 중이다. 무엇보다 2014 년 북미 Woodford 프로젝트(SK E&S 지분율 49.9%) 투자로 인하여 2019 년부터 셰일가스가 본격적으로 생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2020 년부터 연간 220 만톤 규모로 Freeport 액화설비 이용계약을 통해 셰일가스를 도입함에 따라 제..
SK, 3분기 실적은 매출액 30조6,407억원(15% y-y), 영업이익 1조4,467억 원(-22% y-y)으로 전망 ■ 2023.09.18 SK (NH투자증권) SK는 첨단소재, 바이오, 그린, 디지털 등 4대사업 중심 중장기 성장 계획 발표 이후 자산 효율화 통한 부문별 투자 및 증설 지속. 연간 1.3조원 내외의 지주회사 현금흐름(브랜드로열티 및 배당수입) 이외에도 쏘카 지분 처분 결정, 중국 동 박업체 왓슨 지분 처분 가능성 등 투자기업 투자회수 통해 현금흐름 강화 중. 이를 바탕으로 2025년까지의 자사주 취득분(연간 1% 이상) 및 기존 자사주 (24.6%) 일부 소각 가능성 높임 상장자회사 주가 변동, SK E&S 실적전망 상향에 따른 가치 상향, NAV 대비 목표할인율 50% 유지하여 목표주가를 210,000원에서 230,000원으로 상향 조정. 투자의견 Buy 유지 SK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30조6,..
SK리츠, 대주주인 SK지주는 이번 유상 증자 이후 지분율이 현재의 43%에서 32%로 하락 ■ 2023.09.18 SK리츠 (삼성증권) 수처리시설 편입 효과: 전일 기업설명회에서 수처리시설 편입과 추진 중인 유상증자를 설명하며 다음을 강조. ① 3천억원의 유상증자 이후 추가 유상증자는 없을 것이며, ② 수처리 시설 편입으로 향후 이자비용 상승에 따른 배당 하락 가능성 제거. 수처리시설 편입으로 포트폴리오 cap rate는 3.9%에서 4.6%로 상승하고 기존 전망 대비 DPS는 20% 이상 증가. SK리츠의 수처리시설 exit 방식은 ① 우선매수협상권을 보유한 SK하이닉스에 재매각, ② 외부 매각 등. 감평 결과 내용연수는 45년, SK리츠는 40년간 정액법으로 상각할 계획 유상증자 효과: 3천억원의 유상증자와 수처리시설 편입을 모두 고려하면 SK리츠의 차입금 은 2.7조원으로 기존 대비 0...
SK, 왓슨 및 쏘카 지분 매각 추진. ■ 2023.09.04 SK (SK증권) 언론보도에 따르면 SK는 왓슨 지분 매각을 추진중으로 알려졌다. SK 는 Golden Pearl EV Solution 을 통해 3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원금은 2,814 억원이다. 왓슨은 중국의 동박업체로 언론에 따르면 기업가치는 4 조원에서 5 조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SK가 보유 지분을 모두 매각한다면 1 조원 내외의 매각차익이 발생할 전망이다. 현재 SK 의 시가총액은 11 조원으로 매각 대금을 모두 현금으로 받게 된다면 NAV 가 1 조원 증가하게 된다(자회사 지분가치와 달리 보유현금은 지주할인 대상이 아님). 또한 보유하 고 있는 쏘가 지분 17.9%(장부가: 1,093 억원)를 롯데렌탈에 2 차례에 걸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매각 예정대금은..